![]() |
이양팔
(Yang-Pal Lee) Ph.D., Stanford University |
전공: 경제발전론 | yplee@korea.ac.kr yplee@alum.mit.edu |
학력
- 1967.09 – 1972.09 M.I.T. 공대(미국), 전자공학, 공학사.
- 1972.10 – 1975.04 Stanford University(미국), 전자공학, 공학석사.
- 1973.10 – 1974.09 Stanford University(미국), 경제학, 경제학석사.
- 1974.10 – 1980.06 Stanford University(미국), 경제학, 경제학박사.
경력
- 1973.06 – 1973.09 Stanford University(미국), T.A.
- 1973.10 – 1974.09 Stanford University(미국), University Fellow
- 1974.10 – 1975.09 Stanford University(미국), T.A., R.A.
- 1975.10 – 1977.06 Stanford University(미국), University Fellow
- 1980.08 – 1983.06 세계은행(미국), Economist
- 1983.09 – 1984.08 고려대학교, 정경대학, 경제학과, 조교수
- 1984.09 – 1987.08 고려대학교, 정경대학, 경제학과, 부교수
- 1985.07 – 현재 M.I.T. 공대(미국), 교육위원회, 위원
- 1987.01 – 1989.01 고려대학교, 정책과학대학원, 경제개발전공학과주임
- 1987.05 – 1988.03 한국개발연구원, 거시경제정책토의그룹, 위원
- 1987.09 – 현재 고려대학교, 정경대학, 경제학과, 교수
- 1988.08 행정고시, 출제위원
- 1989.08 – 1993.07 한국경제학회, 학회지발간위원회, 위원
- 1993.03 – 1994.02 Stanford University(미국), Visiting Scholar
- 1994.02 – 1997.07 고려대학교, 대학원, 경제학과주임
- 1995.08 – 1997.07 고려대학교, 정경대학, 경제학과장
- 1997.02 – 1999.01 한국경제학회, 이사
- 1997.06 – 1999.02 고려대학교, 국제대학원, 겸임교수
- 1997.08 – 1999.07 한국경제발전학회, 평의원
- 1998.03 – 2000.02 한국경제학회, 청람상심사위원회, 위원
- 1998.05 지방고시, 출제위원
- 1998.09 – 2013.02 정년보장임용 교수
- 2013.03 -고려대학교 명예교수
현재 진행 중 연구분야
- 경제성장모형
- 생산성 추정
- 잠재GDP 추정, 자본스톡 추정
- 자산시장의 거시경제 파급효과
- 90년대 신흥공업국 경제위기사례; 아시아 경제위기
- 인플레이션 타겟팅정책의 전망
- 중남미경제의 거시정책 교훈
- 체제전환국의 시장제도회복과정
- 일본경제의 장기침체과정
- 개도국 금융부실
- 기업지배구조
- 반도체산업의 성장주기
- 환경산업의 전망
연구활동
- Korea-Electronics Technology Project: Supervision Mission Report, Industry Department, August 1981, the World Bank
- Phillippines-Textile Sector Project: Post-appraisal Mission Report, Industry Department, June 1982, the World Bank
- Korea-Technology Development Project: Staff Appraisal Report(Report No. 3707-KO), February 1982, the World Bank
- Malawi-Forest Sector Project: Appraisal Mission Report, Industry Department, December 1982, the World Bank
- Tanzania-Mwanza Textile Project: Supervision Mission Report, Industry Department, December 1982, the World Bank
- Romania-Tire Project: Supervision Mission Report, Industry Department, January 1983, the World Bank
- Romania-Bucharest Glass Fiber Project: Project Completion Report, Industry Department, March 1983, the World Bank
- Romania-Cympulung Polyester Project: Project Completion Report, Industry Department, May 1983, the World Bank
- “Inflation Hedges and Economic Growth” 한국국제경제학회, 제12차 학술발표대회 논문집, PP 149-163. (1983. 12)
- Korea-Proposed Second Technology Development Project: Issues Paper, Industry Department, March 1984, the World Bank
- “Korea’s External Debt Accumulation 1979-1984” 금융연구회, 월례토론회 논문-8, 금융연수원 (1985. 11)
- “한국의 경제성장과 금융산업, 1963-1983” 고려대학교 아세아문제연구소 사회개발연구총서 16, 한국사회개발연구(XVI), PP 143-172. (1986. 9)
- “우리나라 금융중개의 1980년대 특성 및 추세“ 고려대학교 아세아문제연구소 사회개발연구총서 18, 한국사회개발연구(XVIII), PP 113-154. (1987. 5)
- “무역흑자와 통화정책” 고려대학교 아세아문제연구소 사회개발연구총서 20, 한국사회개발연구(XX), PP 127-171. (1987. 12)
- “Korean Economy: Development and Prospects” 한국사회개발연구 국제학술회의(International Conference on Korean Social Development) 발표논문, Seoul, Korea (1987. 12)
- “급속한 공업화와 국제교역의 역할“ 고려대학교 아세아문제연구소 사회개발연구총서 22, 한국사회개발연구(XXII), PP 141-193. (1988. 12)
- “90년대 한국거시정책과제“ 고려대학교 정경대학 사회과학논집, 제17집, PP 51-72, (1992. 12) (수암장학문화재단 연구비 지원)
- “Acyclical Collective Rationality and Decisive Sets” 고려대학교 정경대학 사회과학논집, 제19집, PP 73-86. (1994. 12)
- 자산시장과 거시정책, 금융연구원 금융조사자료 95-05. (1995. 7)
- “Environment Issues and Development Policy in Korea” International Conference On International Relations & Development in the 21st Century: The United States/Japan/ Korea, at the American University, Washington, D.C. (1995. 9)
- “환경시장 기초분석과 정성적 전망“ 한국환경기술개발원. (1996. 8)
- “환경시장의 전망” 한국환경기술개발원. (1996. 10)
- “Environment Issues and Development Policy in Korea” 고려대학교 정경대학 사회과학논집, 제21집, PP 91-109. (1996. 12)
- “21세기 환경기술개발 장기 종합계획 (Green Contribution 21)” 국립환경연구원 21세기 환경기술개발 장기 종합계획 최종보고서(공동) (1997. 4)
- “환경시장 형성요인과 현황” 고려대학교 경제연구소 Discussion Paper No. 01-02 (June 2001).
- “외환위기 이후 우리나라 잠재 GDP 전망” 고려대학교 경제연구소 Discussion Paper No. 02-01 (October 2002).
- “1990년대 아르헨티나 경제안정대책“ 고려대학교 경제연구소 Discussion Paper No. 03-01 (February 2003).
- “외환위기 이후 한국의 잠재 GDP 전망“ 양영회 연구용역보고서.
- “1990년대 브라질의 물가안정 정책” 고려대학교 경제연구소 Discussion Paper No. 05-01 (March 2005)
- “브라질 Real화 통화위기와 재정개혁“ 고려대학교 경제연구소 Discussion Paper No. 05-02 (April 2005)
연구비
- 1990 수암장학문화재단 500만원 90년대 한국거시정책
- 1993 금융연구원 1200만원 자산시장과 거시정책
- 1995 정경대학 500만원 신흥공업국 지역연구
- 1996 환경기술개발원 1200만원 환경산업전망
- 97.9-98.8 학술진흥재단 800만원 환경시장 발전과정에 관한 연구
- 01.5-02.10 정경대학 800만원 경제발전사례연구
- 01.6-02.6 양영회 700만원 외환위기 이후 한국의 잠재GDP 전망
연구년
- 93.3-94.2 스탠포드 대학 자산시장과 거시정책
- 97.9-98.2 경제개발과 환경보존
- 01.3-01.8 신흥시장의 동향
신문 칼럼
- “기술개발투자와 금융정책-기술과 산업의 연계전략” 한국산업기술진흥협회 주최 제13차 월례좌담회, 한국경제신문 (1985. 6. 27)
- “유고경제의 교훈” 시평, 매일경제신문 (1988. 9. 5)
- “표류하는 통화정책” 시평, 매일경제신문 (1988. 10. 10)
- “청문회 유감” 시평, 매일경제신문 (1988. 11. 14)
- “평범한 논리” 시평, 매일경제신문 (1988. 12. 19)
- “물가를 불안케 하는 현실” 경제교실, 매일경제신문 (1989. 6. 9)
- “소액주주운동의 역할과 한계” 시론, 고대신문 (1999. 3. 29)
- “재벌개혁의 방향“ 사설, 고대신문 (2000 4. 3)
- “금감원 로비에 금간 정권 도덕성” 시론, 고대신문 (2000 11 06)
신문 칼럼
- “일본 남ALPS 원정 등반” 고려대학교 안암산우회 안암 제10호 PP 60-65 (1998)
- “인도 동남아 불교미술 견학기“ 고려대학교 안암산우회 안암 제10호 PP 106-113. (1998)